top of page

해운대 미래공간 꿈나눔터 ㅣ HAEUNDAE DREAM YOUTH CULTURAL CENTER

Public

2023.11.

2ND PRIZE

정면-2.jpg

상생

오피스텔로부터 남측으로 10M 남짓 떨어진 대지 상황속에서 최대한 이격할 수도, 반대로 무시할 수도 있었지만 택한 방법은 상생이었다. 그 방법에는 상층부에 매스분절을 통해 아이들을 위한 방을 만들고 그 사이를 연결하는 길을 계획하여, 그 길이 오피스텔에 간섭되지 않으면서도 잘 기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저층부에는 도시로 치면 광장을 계획하여 도시와의 접점에서 청소년들이 쉽게 접근가능하며 지역주민 또한 더불어 사용가능한 지역의 허브로써 작동하고자 한다.

조감도-2.jpg
실내투시도(1층).jpg

​모두가 마주치는 열린공간

다양한 높이와 깊이로 비워진 곳에 입체적인 마주침과 즐거움이 생긴다. 매스를 분절하여 적절히 열린 매스는 도시와 소통하고 관계맺으며 공간을 풍부하게 만든다. 사이사이의 빈 공간은 채광과 환기를 원활하게 만들어 유소년들에게 질 높은 공간을 제공한다. 꿈나눔터의 저층부는 마당과 함께 들락날락, 휴게공간으로 구성되어 이용자 모두에게 열린 공간이 된다. 열린마당인  저층부는 어른-아이, 지역주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하며 소통할 수 있는 매개공간이며, 꿈나눔정원을 따라 이어지는 유스텝과 유스그라운드는 우연한 마주침과 이벤트가 있는 공간으로 제안한다.

계획개념_대지 1-03.jpg

​주변을 배려하고 대지환경에 대응하며 열려있는 청소년공간

꿈나눔터는 이용자뿐만 아니라 주변을 배려하는 공공의 장소여야 한다. 대공간인 다목적강당과 소음발생 가능성이 큰 프로그램을 지하에 배치 함으로써 건물내부뿐만 아니라 인접주거지에 대한 소음간섭을 최소화하고 오피스텔과 접한 부분은 이격배치하여 주어진 조건내에 지상에 드러나는 건물의 볼륨과 높이를 최소한으로 계획하고자 한다. 건물의 고층부는 프로그램실, 동아리실 등과 같이 비교적 작은 단위유닛들을 조닝함으로써 매스를 분절하고, 남쪽채광을 내부로 유도하고자 한다. 분절된 매스사이의 영역은 단면을 최소화하고 투명하게 처리하여 건물과 면하게 될 오피스텔 영역의 채광환경을 고려하였다. 1층과 2층은 15미터 건축한계선에 의해 만들어진 전면마당을 가진 거실과 같은 열린공간으로 구성하였다. 15 x 45M 크기의 마당으로 열린 1, 2층은 개방형으로 구성하여 주이용자인 어린이, 청소년뿐만 아니라 지역주민 모두가 향유할 수 있는 공공의 거실로 제안한다.

단면 등각투상도-2.jpg
계획개념_대지 1-01.jpg

도심속 유소년 커뮤니티를 위한 작은마을

높은 빌딩과 유흥가, 학원밀집가 블럭속에 위치한 대지에는 아이들과 청소년이 자유롭게 뛰어놀 여유공간이 없다. 경쟁에 지친 유소년들에게 그들 스스로 위로하고 생각할 수 있는 온전히 그들만을 위한 비어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도시로 열려 자유롭게 다가갈 수 있는 저층부의 개방적인 놀이공간과 함께  충분히 뛰어놀고 쉬어갈 수 있는 이야기가 담긴 아이들의 작은 마을을 제안한다.

대지위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1458-4번지

대지면적 : 1340.10 ㎡

건축면적 : 598.92 ㎡

연  면  적 : 3,697.48 ㎡

용       도 : 수련시설(청소년문화의집)

규       모 : 지상5층 / 지하1층

​구       조 : 철근콘크리트조

PHILO

- ARCHITECTS   │  건축사사무소 필로 │  philo@philo-a.com

copyright © by PHILO ARCHITECTS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